반응형
담쟁이덩굴(Japanese Creeper Ivy)은 포도과 담쟁이덩굴속의 낙엽 관목입니다.
담쟁이덩굴은 잎이 나오는 곳마다 함께 청개구리의 발가락 모양같은 빨판이 나와 벽에 쉽게 붙을 수 있습니다. 여러 담쟁이 종류 중에서 가장 잘 적응하는 것 같네요. 그리고 이 빨판은 흙담이 아니면 파고들지 않아서 벽을 손상하거나 하지도 않는다고 합니다.
속명 파르테노치수스(Parthenocissus)는 희랍어의 처녀(parthenos)와 덩굴(kissos)의 합성어다. 꽃가루받이 없이도 종자를 생산하는 담쟁이덩굴의 처녀생식(處女生殖)으로부터 유래한다. 종소명 트리쿠스피다타(tricuspidata)는 잎 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모양에서 유래하는 라틴어다. (출처: 한국식물생태보감)
담쟁이덩굴의 꽃말은 "우정"입니다.
학명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Parthenocissus : 희랍어의 처녀(parthenos) + 덩굴(kissos)의 합성어
tricuspidata : 잎 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모양에서 유래하는 라틴어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포도목
└ 포도과
└ 담쟁이덩굴속
└ 담쟁이덩굴
다른이름
담쟁이덩굴, 담장넝쿨, 담장이덩굴, 담쟁이, Japanese Creeper Ivy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반응형
'쌍떡잎식물강 > 포도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담쟁이덩굴(美國담쟁이덩굴, Virginia creeper) (0) | 2020.06.07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