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콩목13

강낭콩(kidney bean) 강낭콩(kidney bean)는 콩과 강낭콩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강낭콩은 밥에 섞어먹거나 떡을 해먹을 때에 사용하는 크고 붉은색 콩입니다. 원래 중국의 강남(양쯔강 이남)에서 들어와서 강남콩(江南豆)이라고 했는 데, 강낭콩, 강남콩 헤깔려하다가 서울의 강남이 개발되면서 강남콩이라고 하면 강남에도 콩을 재배하느냐는 얘기가 있으면서 1988년부터 한글맞춤법 개정때부터 강낭콩이 표준어가 되었다고 합니다. 강낭콩의 꽃말은 "행복한 삶"입니다. 학명 Phaseolus vulgaris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강낭콩속 └ 강낭콩 다른이름 채두(菜豆), 운두(雲豆), 변두(藊豆), 작두(鵲豆), 용과두(龍瓜豆), 백반두(白飯豆), 두각(豆角), 설편두(雪扁豆), 강남콩.. 2023. 5. 28.
참싸리(shortstalk bushclover) 참싸리(shortstalk bushclover)는 콩과 싸리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만, 예전에 군복무할 때에 가을이 되면 겨울철 제설작업(除雪作業)을 위하여 싸리비를 엄청나게 많이 만들었습니다. 월동 준비를 위해서 꼭해야 할 작업이지요. 저는 경기도 연천에서 군 생활을 하였는 데, 겨울에 눈이 많이 와서 겨울철 내내 싸리비가 닳도록 치웠네요. 연병장의 눈을 쓸어서 부대앞에 있는 개울에 버렸습니다. 개울에 눈이 쌓이고 쌓여서 마치 빙산처럼 자리잡고 있다가 봄비가 내리면 그 때야 겨우 녹아 없어졌네요. 요즘도 싸리비는 만들겠죠? 참싸리의 꽃말은 "은혜"입니다. 학명 Lespedeza cyrtobotrya Miq. (1867)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2020. 10. 23.
큰낭아초(큰狼牙草) 큰낭아초(狼牙草)는 콩과 땅비싸리속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큰낭아초(狼牙草)의 낭아(狼牙)는 이리 이빨이라는 뜻이며, 꽃이 이리의 이빨처럼 생긴 풀이라는 뜻으로 낭아초라고 부릅니다. 큰낭아초는 낭아초보다 크기 때문에 큰낭아초라고 합니다. 꽃은 싸리꽃과 비슷하고 잎은 아까시나무와 비슷하네요.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무입니다. 큰낭아초의 꽃말은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꽃", "신의"입니다. 학명 Indigofera amblyantha Craib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땅비싸리속 └ 큰낭아초 다른이름 큰낭아초(큰狼牙草) 원산지 중국 참고자료 2020. 8. 10.
자귀나무(Persian silk tree) 자귀나무(Persian silk tree)는 콩과과 자귀나무속의 활엽 낙엽 교목입니다. 어릴 시절에 토끼를 키우면서 토끼의 먹이로 자귀나무 잎을 따다 주곤 했습니다. 꺾어놓은 잎이 마르면 잎에 달린 작은 잎들이 모두 흩어져 떨어집니다. 자귀나무의 잎은 낮에는 활짝 펴져 있지만 저녁이 되면 작은 잎들이 서로 안고 잠을 자듯이 오그라듭니다. 자귀나무의 꽃말은 "가슴의 두근거림", "환희"입니다. 학명 Albizia julibrissin Durazz. (1772)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자귀나무속 └ 자귀나무 다른이름 자귀나무, 야합수(野合樹), 합환수(合歡樹), 합환목(合歡木) 유정수(有情樹), Persian silk tree; pink silk tree 야합수(野合.. 2020. 7. 2.
루피너스(large-leaved lupine) 루피너스(large-leaved lupine)는 콩과 루피너스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루피너스의 꽃말은 "모성애", "탐욕", "공상"입니다. 학명 Lupinus polyphyllus Lindl. Lopus : 라틴어 "이리"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루피너스속 └ 루피너스 다른이름 루피너스, 루핀, 층층이부채꽃, large-leaved lupine, big-leaved lupine, many-leaved lupine, blue-pod lupine, garden lupin 원산지 북아메리카 2020. 6. 14.
자주개자리(Alfalfa) 자주개자리(Alfalfa)는 콩과 개자리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글. 자주개자리의 꽃말은 "즐거운 추억"입니다. 학명 Medicago sativa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개자리속 └ 자주개자리 다른이름 자주개자리, 알팔파, 앨팰퍼, 목숙, 자주꽃개자리, Alfalfa, Alfalfa Luceme 원산지 지중해 연안 2020. 6. 7.
완두(豌豆) 완두(豌豆)는 콩과 완두속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 덩굴성 풀입니다. 완두는 중고등학교의 생물 시간에 맨델의 유전의 법칙(우열의 법칙) 실험에 사용되었던 콩입니다. 완두의 꽃말은 "행복한 결혼", "다산", "미래의기쁨"입니다. 학명 Pisum sativum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완두속 └ 완두 다른이름 완두(豌豆), 완두콩, pea, Green Peas 원산지 지중해 2020. 5. 31.
붉은토끼풀(Red Clover) 붉은토끼풀(Red Clover)는 콩과 토끼풀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붉은토끼풀은 하얀색의 꽃을 피우는 토끼풀과 달리 분홍색의 꽃을 피웁니다. 토끼풀에 비하여 키가 큰 편이고 줄기나 잎에 잔털이 있습니다. 토끼풀은 땅바닥에 딱 붙어서 기어서 자라는 데, 붉은토끼풀은 기는 줄기는 덜 발달하여 서서 자랍니다. 붉은토끼풀의 꽃말은 "약속", "행복"입니다. 학명 Trifolium pratense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토끼풀속 └ 붉은토끼풀 다른이름 붉은토끼풀, 레드클로버, 홍차축조(紅車軸草), 홍삼엽(紅三葉), 금화채(金花菜), red clover 원산지 유럽 2020. 5. 24.
족제비싸리(Bastard indigobush) 족제비싸리(Bastard indigobush)는 콩과 족재비싸리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족제비싸리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족제비 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1910년경 일본에 수입되어 일본 및 만주 등에 심었다가 1930년경에 우리나라로 들어왔다고 합니다. 족제비싸리의 꽃말은 "생각이 나요.", "상념", "사색"입니다. 학명 Amorpha fruticosa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족제비싸리속 └ 족제비싸리 다른이름 족제비싸리, 왜싸리, desert false indigo, false indigo-bush, bastard indigobush 원산지 북아메리카 2020. 5. 23.
아까시나무(black locust) 아까시나무(black locust)는 콩과 아까시나무속의 낙엽 교목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카시아라고 부르는 아까시나무입니다. 학명의 Pseudoacacia에서 따온 말을 우리가 부르고 있는 데, Pseudo는 영어로 fake, false 등의 의미로 가짜라는 뜻으로 가짜아카시아라는 뜻입니다. 진짜 아카시아는 미모사아과(Mimosoideae) 아카시아속의 식물로 따로 있습니다. 식물을 분류한 린네가 아까시나무를 보고 아카시아랑 비슷하여 가짜아카시아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Pseudo를 빼고 아카시아라고 잘못 불려졌고, 이를 고치기 위해서 우리나라 식물학자들이 이름을 지은 것이 아까시나무입니다. 아까시나무는 기존의 아카시아와 발음이 비슷하고 큰 가시(사투리로 까시라는 말을 사용함.. 2020. 5. 17.
제니스타 (genista) 제니스타 (genista)는 콩과 제니스타속의 관목입니다. 제니스타의 꽃말은 "청초", "겸손"입니다. 학명 Genista spp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제니스타속 └ 제니스타 다른이름 제니스타, 양골담초, 서양골담초, 노랑싸리, 게니스타, 향기싸리, 애니시다 (일본어), dyer's broom, spanish broom, genista 원산지 유럽, 서아시아, 아프리카 2020. 5. 5.
토끼풀 (white clover) 토끼풀 (white clover)은 콩과 토끼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용돈 벌이를 위하여 토끼를 키웠습니다. 검정색 친칠라, 흰색 앙골라를 키웠습니다. 토끼는 번식력이 엄청 좋아서 한번에 8마리 이상을 낳고 자주 낳습니다. 특히, 친칠라는 병에도 강하여 잘 자랐습니다. 주로 토끼의 먹이로 뜯어주었던 것이 이 토끼풀입니다. 물론 토끼는 쓴맛이나는 씀박이나 고들빼기류를 더 좋아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토끼풀은 쉽게 구할 수 있어서 많이 뜯어 먹였습니다. 토끼풀의 꽃은 어린 시절의 놀이로 많이 이용했습니다. 꽃을 두개 줄기째 잘라서 하나의 꽃 바로 아래 줄기에 구멍을 뚫어 다른 줄기를 끼워넣어 손목시계 만들기, 많은 꽃을 줄기째 뜯어 엮어 화환을 만들기 등을 하면서 놀곤 했네요. 추억.. 2020. 5.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