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쌍떡잎식물강/범의귀목10

붉은바위취/휴케라(coral bells) 붉은바위취/휴케라(coral bells)는 범의귀과 붉은바위취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붉은바위취/휴케라(coral bells)의 꽃말은 "절실한 사랑", "섬세한 생각", "인내력"입니다. 학명 Heuchera sanguinea Engelm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위귀목 └ 범의귀과 └ 붉은바위취속 └ 붉은바위취(휴케라) 다른이름 붉은바위취, 휴케라, 휴체라, coral bells, alumroot 원산지 미국(애리조나, 뉴멕시코), 멕시코 북부 2023. 6. 14.
이테아(Virginia willow) 이테아는 이테아과 이테아속의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이테아의 꽃말은 ""입니다. 학명 Itea virginica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이테아과 └ 이테아속 └ 이테아 다른이름 이테아, 소엽수채, 즈이나, Virginia willow, Virginia sweetspire 원산지 미국(남동부) 참고자료 큰까치수염(gooseneck loosestrife) 큰까치수염(gooseneck loosestrife)는 앵초과 좁쌀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큰까치수염은 전국의 산과 들의 각처에서 볼 수 있는 하얀색 꽃이 피는 식물입니다. 약간 습한 곳에서 잘 자랍니다. 봄 www.dailylife.kr 2023. 6. 7.
물수세미(whorl-leaf watermilfoil) 물수세미(whorl-leaf watermilfoil)는 개미탑과 물수세미속의 여러해살이 수초입니다. 물수세미(Myriophyllum verticillatum)는 한국, 중국, 동시베리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유럽 등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연못 등의 물속에서 자란다. 땅속줄기를 뻗으면서 자라고, 원줄기 윗부분이 물 위로 뜬다. 줄기 중간에 달린 잎은 깃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지며, 녹색과 갈색을 띤다. 물 위로 뜬 잎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물 속에 있는 잎보다 넓고 짧게 갈라진다. 꽃은 8월에 연노란색으로 핀다. --출처:위키백과-- 물수세미의 꽃말은 "유유자적", "여우"입니다. 학명 Myriophyllum verticillatum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2020. 11. 5.
계수나무(katsura) 계수나무(katsura)는 계수나무과 계수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계수나무의 꽃말은 "명예", "승리의 영광"입니다. 학명 Glaucidium palmatum'Siebold & Zucc. ex J.J.Hoffm. & J.H.Schult.bis, 1864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계수나무과 └ 계수나무속 └ 계수나무 다른이름 계수나무, 련향나무, 연향수, katsura tree 원산지 중국, 일본 2020. 10. 26.
큰꿩의비름(live-forever) 큰꿩의비름(live-forever)은 돌나물과 꿩의비름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큰꿩의비름의 꽃말은 "순종"입니다. 학명 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돌나물과 └ 꿩의비름속 └ 큰꿩의비름 다른이름 큰꿩의비름, 경천(景天), 장약경천(長藥景天), 팔보(八寶), 갈자장(蝎子掌), live-forever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2020. 6. 21.
노루오줌 노루오줌은 범의귀과 노루오줌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노루오줌 이름의 유래에 대한 설이 많다. 그중 뿌리에서 노루 오줌 냄새가 나서 붙었다는 설과 노루가 자주 오는 물가에서 많이 보여 그렇게 지었다는 두 설이 지배적이다. 노루오줌은 한방에서 전초를 ‘소승마’, 뿌리를 ‘적승마’라 하여 약으로 쓴다. 소승마는 해열, 두통 등에 쓰고, 적승마는 타박상 등에 쓴다. 전초를 술로 담가 먹기도 하고,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 출처: 위키백과 -- 노루오줌의 꽃말은 "기약없는 사랑", "소용없는 일"입니다. 학명 Astilbe rubra var. rubra Hook.f. & Thomson, 1857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범의귀과 └ 노루오줌속 └ 노루오줌 다른이름 노루.. 2020. 6. 7.
돌나물(石上菜: stonecrop) 돌나물(石上菜: stonecrop)는 돌나물과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돌나물은 시내가 등이나 야산에 많이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돌나물, 석상채(石上菜)는 다른 식물들이 자라기 힘든 돌 틈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하며 연한 잎과 줄기로 물김치를 담가 먹거나 생채, 샐러드, 겉절이 등으로 먹기도 합니다. 돌나물의 꽃말은 "근면"입니다. 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1898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 돌나물 다른이름 돌나물, 반지련(半支蓮), 불지갑(佛指甲), 석지갑(石指甲), 수분초(垂盆草), 돈나물, 석상채(石上菜), stonecrop 원산지 우리나라 2020. 5. 24.
기린초(麒麟草) 기린초(麒麟草)는 돌나물과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기린초는 시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입니다. 꽃이 돌나물과 아주 비슷합니다. 돌나물은 줄기와 잎이 채송화 같이 다육식물 같은 모양이지만, 기린초는 나무가지 같은 줄기에 잎이 달렸습니다. 기린초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기린초의 꽃말은 "소녀의 사랑", "기다림"입니다. 학명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1898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 기린초 다른이름 각시기린초, 넓은잎기린초, 경천초(景天草), 기린채(麒麟菜), 백삼칠(白三七), 비채(費菜), 마삼칠(馬三七), 양심초(養心草)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2020. 5. 24.
작약(芍藥, 함박꽃: peony) 작약(芍藥: peony)는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꽃 모양이 넉넉해 함박꽃이라고 불리며 예로부터 관상 및 약용으로 재배되었다. 중국에서는 모란을 화왕(花王)이라 하여 꽃 중에 제일로 꼽았고, 작약은 화상(花相)이라 하여 모란 다음의 꽃으로 여겼다. 높이는 1m 내외이고 꽃 색깔에 따라 백작약, 적작약으로 나누기도 한다. 꽃이 아름다워 옛날부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해 왔으며 반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뿌리는 한방에서 귀중한 약재로 취급되어 백작약 뿌리는 빈혈 치료와 진통제로, 적작약 뿌리는 혈압 강하제와 해열제로 이용한다. 한국·몽골·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출처: 위키백과 -- 작약의 꽃말은 "부끄러움", "수줍음"입니다. 학명 Paeonia lactiflora.. 2020. 5. 23.
모란(牧丹: tree peony) 모란(牧丹: tree peony)은 작약과 작약속의 낙엽수입니다. 서울 노원의 중계 근린 공원과 건너편인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이 있는 등나무 근린 공원에는 여러가지 꽃들이 많이 핍니다. 예전에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이 들어서기 전에는 다양한 꽃이 조성된 꽃밭과 여러가지 식용작물들이 매년 자라서 어린이들의 체험학습으로 좋은 장소였습니다. 지금은 커다란 미술관이 이자리를 차지하면서 미술관 주위에는 여러가지 꽃들이 피어있습니다. 나무 사이에 하얗게 피어 있는 모란꽃이 너무 아릅답습니다. 이름의 유래 꽃색이 빨갛기 때문에 란(丹: 붉을 단, 꽃이름 란)이라 부르고 새싹이 돋아날 때의 모양이 수컷의 형상이라 모(牡: 수컷 모)자를 사용하여 모란이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모란의 꽃말은 "부귀영화", "왕자의 품격", "행.. 2020.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