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왕고들빼기는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한두해살이 풀입니다.
볕이 잘 드는 길가, 풀밭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높이 1-2m까지 자라며 곧게 선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고 길이 10~30cm, 너비 1~5cm쯤 되는 긴 피침형이다.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뒷면은 흰색을 띤다. 꽃은 7~9월에 피고 길이 20-40cm쯤 되는 원추꽃차례에 많은 두화가 달린다. 두화는 혀꽃으로만 되어 있으며, 지름 2cm이고 연한 황색이다. 열매는 편형하면서 달걀 모양으로 검정색인 수과이다. 갓털은 흰색이다. --출처:위키백과--
왕고들빼기의 꽃말은 "모정"입니다.
학명
Lactuca indica L. (1771)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Houtt.) H.Hara (1952)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왕고들빼기속
└ 왕고들빼기
다른이름
왕고들빼기, 고개채, 사라구, 산생채, 산와거, 고줄빼기
원산지
우리나라, 동아시아(중국, 일본, 러시아)
참고자료
반응형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취(chamchwi) (0) | 2020.11.02 |
---|---|
삼잎국화/겹삼잎국화 (3) | 2020.10.26 |
과꽃 (China aster) (0) | 2020.10.13 |
소국(小菊) (0) | 2020.10.05 |
구절초 (九節草, 九折草: Korean Daisy) (0) | 2020.09.21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