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11 약모밀(Houttuynia) 약모밀는 삼백초과 약모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잎이 메밀의 잎과 비슷하고 약용식물이므로 약모밀이라고 부릅니다. 약모밀은 잎과 줄기에서 물고기 비린내와 같은 냄새가 나기 때문에 어성초(魚腥草)라고도 부릅니다. - 고기 어(魚), 비릴 성(腥), 풀 초(草) 약모밀의 꽃말은 "기다림"입니다. 학명Houttuynia cordata Thunb. (1783) 분류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후추목 └ 삼백초과 └ 약모밀속 └ 약모밀 다른이름약모밀, 어성초(魚腥草), 중약초, 즙채, 십약 원산지우리나라, 동아시아, 히말라야, 자바 등 2023. 5. 28. 모란과 작약의 차이점(구별법) 모란(牧丹: tree peony) 모란(牧丹: tree peony)은 작약과 작약속의 낙엽수입니다. 서울 노원의 중계 근린 공원과 건너편인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이 있는 등나무 근린 공원에는 여러가지 꽃들이 많이 핍니다. 예전에 서울 www.dailylife.kr 2023. 5. 27. 섬초롱꽃/자주섬초롱꽃 섬초롱꽃는 초롱꽃과 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섬초롱꽃은 초롱꽃과 달리 줄기에 털이 없습니다. 섬초롱꽃의 꽃말은 "감사", "기도", "천사", "충실"입니다. 학명 Campanula takesiman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초롱꽃과 └ 초롱꽃속 └ 섬초롱꽃 다른이름 섬초롱꽃, 모시나물, 풍령초 원산지 우리나라 (울릉도) 자주섬초롱꽃 참고자료 초롱꽃 초롱꽃은 초롱꽃과 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초롱꽃의 꽃말은 "감사", "성실", "충성"입니다. 학명 Campanula punctata Lam. 1785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초롱꽃 www.dailylife.kr 2023. 5. 27. 영산홍(왜철쭉) - 2023.05.19 2023. 5. 27. 산파첸스(2023.05.19) 산파첸스(Sunpatiens)산파첸스(Sunpatiens)는 봉선화과 봉선화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산파첸스(sunpatiens)는 임파첸스(impatiens)를 일본에서 개량하여 만든 식물입니다. 다른 임파첸스(봉선화과)들 보다 꽃이 크고 햇볕www.dailylife.kr 2023. 5. 26. 유채(油菜) 유채(油菜)는 배추과 배추속의 두해살이 풀입니다. 유채(油菜)는 한자의 뜻과 같이 기름을 짜기 위한 채소(기름작물, 유료작물)입니다. 유채(油菜)의 꽃말은 "쾌활"입니다. 학명Brassica napus L. 1753 분류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십자화목 └ 배추과 └ 배추속 └ 유채 다른이름유채, 평지, 油菜, rapeseed 원산지 스칸디나비아반도, 시베리아, 카프카스, 지방지중해, 중앙아시아 2023. 5. 25. 블루베리(Blueberry) 블루베리(Blueberry)는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블루베리(Blueberry)의 꽃말은 "친절", "현명", "지성", "지혜"입니다. 학명Vaccinium corymbosum L. 1753 분류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속 └ 블루베리 다른이름블루베리, blueberry 원산지북아메리카 2023. 5. 25. 붓꽃(2023.05.13) 붓꽃(Siberian iris)붓꽃(Siberian iris)은 붓꽃과 붓꽃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붓꽃 이름의 유래는 꽃봉오리가 먹을 머금은 붓과 같아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붓꽃의 꽃말은 "좋은소식"입니다. 학명'Iris sanguinea'www.dailylife.kr 2023. 5. 24. 로벨리아 (2023.05.14) 로벨리아 (edging lobelia)로벨리아 (edging lobelia)는 초롱꽃과 숫잔대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로벨리아의 꽃말은 "악의", "불신", "원망", "절교"입니다. 학명 Lobelia erinus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www.dailylife.kr 2023. 5. 24. 작약(2023.05.14) 작약(芍藥, 함박꽃: peony)작약(芍藥: peony)는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꽃 모양이 넉넉해 함박꽃이라고 불리며 예로부터 관상 및 약용으로 재배되었다. 중국에서는 모란을 화왕(花王)이라www.dailylife.kr 참고자료: 모란(牧丹: tree peony)모란(牧丹: tree peony)은 작약과 작약속의 낙엽수입니다. 서울 노원의 중계 근린 공원과 건너편인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이 있는 등나무 근린 공원에는 여러가지 꽃들이 많이 핍니다. 예전에 서울www.dailylife.kr 2023. 5. 23.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는 목련과 목련속의 낙엽 활엽 소교목입니다. 함박꽃나무의 꽃말은 "수줍음", "변함없는 사랑", "영원한 사랑"입니다. 학명 Magnolia sieboldii K.Koch 18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목련목 └ 목련과 └ 목련속 └ 함박꽃나무 다른이름 함박꽃나무, 산목련, 목란, 천녀목란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2023. 5. 23. 일본목련(日本木蓮) 일본목련(日本木蓮)는 목련과 목련속의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일본목련의 꽃말은 "숭고한 정신", "우애", "순결"입니다. 학명 Magnolia obovata Thunb.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목련목 └ 목련과 └ 목련속 └ 일본목련 다른이름 일본목련, 떡갈목련, 향목련, 왕후박, 일본후박, japanese bigleaf 원산지 일본 2023. 5. 2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