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1

채송화(菜松花:rose moss) 채송화(菜松花:rose moss)는 쇠비름과 쇠비름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채송화는 어릴적 고향집의 화단에 많이 심었던 꽃입니다. 요즘은 찾기가 쉽지 않는 꽃이 되었는 데, 크고 화려한 꽃들이 많아져서 그런 것 같습니다. 땅바닥에는 꽃잔디(지면패랭이)나 사철채송화(송엽국)와 같이 꽃이 많이 피는 꽃이나 오랫동안 꽃이 피는 꽃들로 대체된 것 같네요. 채송화는 어릴 적 음악책에도 나오는 동심어린 꽃 중의 하나인 것 같습니다. 채송화의 꽃말은 "천진난만", "순진", "가련"입니다. 학명 Portulaca grandiflora Hook. (1829)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석죽목 └ 쇠비름과 └ 쇠비름속 └ 채송화 다른이름 채송화(菜松花), 반지련(半支蓮), 불갑초(佛甲草), 만년초(萬.. 2020. 10. 6.
마타리꽃 마타리(dahurian patrinia) 마타리(dahurian patrinia)는 인동과 마타리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마타리는 양지바른 산이나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노란색 작은 꽃들이 뭉쳐나는 꽃입니다. 식물 전체를 어혈이나 www.dailylife.kr 2020. 10. 6.
소국(小菊) 소국(小菊)는 국화과 국화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소국의 꽃말은 흰색: "성실", "진실", "감사" 노란색: "짝사랑", "이루어 질수 없는 사랑" 빨간색: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분홍: "절개", "지조", "정조" 보라색: "내 모든것을 그대에게" 입니다. 학명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국화속 └ 소국 다른이름 소국, 쿠션멈(cushionmum) 원산지 중국 참고자료 2020. 10. 5.
좀작살나무의 열매 좀작살나무(Purple Beautyberry) 좀작살나무(Purple Beautyberry)는 꿀풀과(마편초과) 작살나무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좀작살나무는 연한 자주색의 꽃이 핍니다. 열매는 핵과로 10월에 둥글고 자주색으로 익습니다. 열매� www.dailylife.kr 2020. 9. 28.
독말풀(다투라, Jimsonweed) 독말풀(다투라, Jimsonweed)는 가지과 독말풀속의 열대성 한해살이 풀입니다. 독말풀의 꽃말은 "덧없는 사랑"입니다. 학명 Datura stramonium var. chalybea Koch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가지목 └ 가지과 └ 독말풀속 └ 독말풀 다른이름 독말풀, 다투라, 악마의 나팔, 털독말풀, 달빛꽃 Jimson weed, Devil's snare, thorn apple, moon flower, hell's bells, devil’s trumpet, devil’s weed, tolguacha, Jamestown weed, stinkweed, locoweed, pricklyburr, devil’s cucumber 원산지 열대 아메리카 참고자료 2020. 9. 28.
파피루스(Papyrus) 파피루스(Papyrus)는 사초과 방동사니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파피루스는 나일 강 상류 지역에서 군락지가 흔히 발견되었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에서는 파피루스(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하였으며, 식용 및 건축 자재로도 쓰인다. 지중해 연안의 습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 출처: 위키백과 -- 3000 ~ 4000년전 이집트에서 사용한 최초의 종이이며, papyrus는 paper(종이)의 어원이 됩니다. 파피루스의 꽃말은 "정직한 사랑"입니다. 학명 Cyperus papyru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사초과 └ 방동사니속 └ 파피루스 다른이름 파피루스, 종이방동사니, Nile papyrus 원산지 이집트, 열대지방 참고자료 2020. 9. 25.
물수선화(spade-leaf sword) 물수선화(spade-leaf sword)는 택사과 에키노도루스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물수선화의 꽃말은 "신비"입니다. 학명 Echinodorus cordifolius (L.) Griseb.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택사목 └ 택사과 └ 에키노도루스속 └ 물수선화 다른이름 물수선화, 열대벗풀, spade-leaf sword, creeping burhead 원산지 아메리카(멕시코) 2020. 9. 24.
물토란(Black Stem Elephant Ear) 물토란(Black Stem Elephant Ear)는 천남성과 토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물토란은 물에서 자라는 토란이란 의미로 붙여진 이름입니다. 란다고 물토란, 줄기가 검다고 흑토란 이라고도 부른다. 일반 토란과 달리 물토란은 알뿌리가 아닌 실뿌리라서 뿌리를 먹지 못합니다. 학명 Colocasia esculenta 'Fontanesii'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택사목 └ 천남성과 └ 토란속 └ 물토란 다른이름 물토란, 흑토란, 열대토란, 폰타네시, Black Stem Elephant Ear 원산지 동남아시아 참고자료 토란(土卵) 토란(土卵)은 천남성과 토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토란은 난초 란(蘭)이 아닌 알 란(卵)이군요. 흙의 알이라는 뜻인가요? 땅속에 알처럼 생긴것.. 2020. 9. 23.
구절초 (九節草, 九折草: Korean Daisy) 구절초 (九節草, 九折草: Korean Daisy)는 국화과 산국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넓은 의미의 들국화는 야생하는 국화과의 모든 식물을 뜻합니다만, 들국화하면 가장 많이 떠올리는 식물이 이 구절초입니다. 구절초(九折草)는 음력 9월 9일인 중양절(重陽節)에 채취를 하는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가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또는 단오에는 다섯개의 마디가 중양절에는 아홉개의 마디가 있어서 구절초(九節草)라고 불렀다고도 합니다. 구절초의 꽃말은 "순수", "어머니의 사랑"입니다. 학명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산국속 └ 구절초 다른이름 구절초(九節草), 구.. 2020. 9. 21.
나비바늘꽃/가우라(2020.09.16) 나비바늘꽃/가우라(whirling butterflies) 나비바늘꽃/가우라(whirling butterflies)는 바늘꽃과 가우라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가우라는 분홍색 꽃을 홍접초(紅蝶草: 붉은 나비 풀), 하얀꽃을 백접초(白蝶草: 하얀 나비 풀)이라고 �� www.dailylife.kr 2020. 9. 17.
메리골드 천수국(千壽菊)/아프리칸메리골드(African marigold) 천수국(千壽菊)/아프리칸메리골드(marigold)는 국화과 천수국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아프리칸메리골드는 메리골드 중에서 꽃이 풍성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천수국/아프리칸메리골드의 꽃말� www.dailylife.kr 만수국(萬壽菊)/프렌치메리골드(French Marigold) 만수국(萬壽菊)/프렌치메리골드(French Marigold)는 국화과 천수국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프렌치메리골드는 메리골드 중에서 꽃이 풍성하지 않은 작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만수국/프렌치메리�� www.dailylife.kr 2020. 9. 16.
구름버섯(운지[雲芝]버섯) 구름버섯(운지[雲芝]버섯)는 구멍장이버섯과 구름버섯속의 버섯입니다. 구름버섯(Trametes versicolor)은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이다. 흔히 운지(雲芝)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 세계에 분포하며 침엽수와 활엽수의 고목이나 바위 위에서 1년 내내 자생한다. 갓의 두께는 5~18mm이며 얇고 단단한 가죽질을 띤다. 갓 표면은 대체로 평평하고 삼각형이나 원형을 띤다. 갓은 주로 검정색, 회색, 갈색, 황갈색, 초록색, 노란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으며 살은 하얀색을 띤다. 너무 딱딱해서 식용으로 쓰이지는 못하고 항암제, 한약탕과 같이 약용으로 사용한다. (출처: 위키백과) 학명 Trametes versicolor (L.:Fr.) Quél. 분류 균계 └ 담자균문 └ 담자균강 └ .. 2020. 9.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