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1

칸나 (Canna) 칸나 (Canna)는 칸나과 칸나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칸나는 넓은 잎을 가진 열대성 식물입니다. 칸나는 꽃이 피기 전의 꽃봉오리(?)는 길고 뾰족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어린 시절 학교의 화단에 줄지어 심어진 칸나의 꽃봉우리를 2개 뽑아서 입을 다물고 입의 양쪽의 꽂으면 괴물의 이가 되었던 추억의 식물입니다. 뿌리는 추위에 약하므로 가을에 캐서 보관했다가 봄에 심습니다. 남부지방에서는 추위에 견디지만 옮겨심지 않고 그대로 두면 몇 년후에는 없어진다고 합니다. 칸나의 꽃말은 "행복한 종말", "존경"입니다. 학명 Canna x generali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생강목 └ 칸나과 └ 칸나속 └ 칸나 다른이름 칸나, 뜰홍초, 꽃칸나, 왕홍초, 꽃홍초(북한), 대화미인초(大.. 2020. 7. 28.
무궁화 (Korean rose, rose of Sharon) 무궁화 (Korean rose, rose of Sharon)는 아욱과 무궁화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무궁화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관습법상의 국화(國花)입니다. 한반도에 무궁화가 많이 자라고 있었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산해경 山海經≫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기원전 8∼3세기 춘추전국시대에 저술된 지리서(地理書)라고 전하여 내려오는 문헌으로, 동진(東晉) 때 곽박(郭璞)이 그 때까지의 기록을 종합, 정리한 것이다. 이 책에 “군자의 나라에 훈화초가 있는데,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진다(君子之國 有薰花草朝生暮死).”라는 기록이 있다. 군자국은 우리 나라를 가리키는 것이며, 훈화초는 무궁화의 옛 이름이다. 이로 미루어 아주 예로부터 무궁화가 우리 나라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신라 효.. 2020. 7. 27.
부용(芙蓉: Confederate rose) 부용(芙蓉: Confederate rose)는 아욱과 부용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부용은 무궁화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의 크기는 무궁화보다 훨씬 크고 잎도 깨잎처럼 넓적하고 줄기도 무궁화는 목질화되었지만, 부용은 대체로 초록색입니다. 또한 꽃의 5개의 암술 부분이 수술과 많이 떨어져서 뚝 튀어나와 있습니다. 부용의 꽃말은 "매혹", "아름다움", "행운은 반드시 온다."입니다. 학명 Hibiscus mutabilis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아욱목 └ 아욱과 └ 부용속 └ 부용 다른이름 부용(芙蓉), 부용화, Confederate rose, Cotton Rose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참고자료 무궁화 (Korean rose, rose of Shar.. 2020. 7. 27.
달맞이꽃(Evening Primrose) 달맞이꽃(Evening Primrose)는 바늘꽃과 달맞이꽃속의 두해살이 풀입니다. 달맞이꽃은 남아메리카(칠레)가 원산인 귀화식물로 시내가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꽃입니다. 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해질녘에 꽃이 피어 새벽에 지는 꽃, 즉 밤에 달을 맞이하며 피는 꽃이라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열매는 참깨의 열매와 비슷한 모양이나 훨씬 가는 모양입니다. 열매가 익으면 속에 참깨처럼 작은 씨앗이 줄지어 들어 있으며, 기름을 짜서 식용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달맞이꽃의 꽃말은 "기다림", "밤의 요정"입니다. 학명 Oenothera odorata Jacq.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도금양목 └ 바늘꽃과 └ 달맞이꽃속 └ 달맞이꽃 다른이름 월하향(月下香), 야래향(夜來香), 올달맞.. 2020. 7. 27.
낚시귀리 (Northern sea oats) 낚시귀리는 벼과 카스만티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학명 Chasmanthium latifolium (Michx.) Yate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카스만티움속 └ 낚시귀리 다른이름 낚시귀리, 납작보리사초, 낚시귀리사초, 소반초, 라티폴리움카스판티움, 유니올라, 유니폴라 northern sea oats, uniola, woodoats, inland sea oats, river oats 원산지 미국 2020. 7. 25.
강아지풀(狗尾草: foxtail) 강아지풀(狗尾草: foxtail)는 벼과 강아지풀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강아지풀은 전국의 들이나 밭, 길가, 심지어 도시의 가로수 아래의 공터에서도 자라는 아주 흔한 풀입니다. 강아지풀이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강아지의 꼬리모양과 비슷하여 불여진 이름입니다. 바람에 흔들리는 강아지풀은 주인이 집에 들어 올 때에 반가워서 꼬리를 살랑살랑 흔드는 강아지같이 부드럽고 평온합니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강아지풀은 아이들의 장남감 역할도 많이 하였습니다. 강아지풀의 꽃을 따서 두터운 아래쪽의 줄기를 손톱으로 흠을 내어 반으로 갈라서 콧수염 놀이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또 장난이 심한 아이들은 강아지풀 꽃을 따서 다른 아이의 바지 가랑이에 꺼꾸로(꽃의 끝이 아래로 오게) 넣으면 걸어갈때마다 위쪽으로 올라가서 팬티까지.. 2020. 7. 25.
나무수국(panicle hydrangea) 나무수국(panicle hydrangea)는 수국과 수국속의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나무수국의 꽃은 중성화와 양성화가 한 꽃차례에 함께 핍니다. 나무수국의 꽃말은 "무정", "냉정", "거만", "변심"입니다. 학명 Hydrangea paniculata 'Limelight'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층층나무목 └ 수국과 └ 수국속 └ 나무수국 다른이름 나무수국, 목수국, 분단화(粉團花), 수국나무, 일본수국, 풀수국, panicle hydrangea, tree hydrangea 원산지 일본 참고자료 수국(水菊:hydrangea) 수국(水菊:hydrangea)는 수국과 수국속의 관목(떨기나무)입니다. 수국의 한자 이름은 수구화(繡毬花)인데, 비단으로 수를 놓은 것 같은 둥근 꽃이란 의.. 2020. 7. 24.
가죽나무 (Tree of heaven) 가죽나무 (Tree of heaven)는 소태나무과 가죽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가죽나무라는 이름은 가짜 죽나무(참죽나무)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참고로 남부지방에서 잎을 따서 먹는 가죽나물은 가죽나무가 아니라 참죽나무의 잎입니다. 가죽나무의 꽃말은 "누명"입니다. 학명 Ailanthus altissima for. altissima (Mill.) Swingle (1916)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무한자남목 └ 소태나무과 └ 가죽나무속 └ 가죽나무 다른이름 가죽나무, 가승목, 가중나무, ailanthus, tree of heaven, varnish tree 원산지 중국 2020. 7. 23.
배롱나무(crape myrtle) 배롱나무(crape myrtle)는 부처꽃과 배롱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배롱나무는 정원수로 많이 심는 나무이며 꺾꽂이(삽목)나 씨앗으로 번식합니다. 원래 이름은 백일홍나무였다가 발음대로 배기롱나무로 불리다가 배롱나무로 불립니다. (백일홍나무 -> 배기롱나무 -> 배롱나무) 백일홍이라는 전혀 다른 국화과의 풀도 있어서, 백일홍나무(배롱나무)와 백일홍초랑 헤깔리기 쉽습니다. 국화과의 백일홍은 여기(백일홍(百日紅: zinnia) )를 참고 하세요. 배롱나무의 꽃말은 "부귀"입니다. 학명 Lagerstroemia indica L. 1759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도금양목 └ 부처꽃과 └ 배롱나무속 └ 배롱나무 다른이름 배롱나무, 백일홍나무, 목백일홍, 나무백일홍, 간즈름나무, 간.. 2020. 7. 23.
로벨리아 (edging lobelia) 로벨리아 (edging lobelia)는 초롱꽃과 숫잔대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로벨리아의 꽃말은 "악의", "불신", "원망", "절교"입니다. 학명 Lobelia erinus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초롱꽃과 └ 숫잔대속 └ 로벨리아 다른이름 로벨리아, edging lobelia, garden lobelia or trailing lobelia 원산지 남아프리카 2020. 7. 22.
능소화 능소화(凌霄花:Chinese Trumpet Creeper) 능소화(凌霄花:Chinese Trumpet Creeper)는 능소화과 능소화속의 활엽 낙엽 덩쿨성 관목입니다. 능소화(凌霄花)는 덩굴식물로 벽을 타고 올라갈 때에는 가지에 흡착뿌리가 생겨서 올라갑니다. 예전에 � www.dailylife.kr 2020. 7. 22.
미국자리공(American Pokeweed) 미국자리공(American Pokeweed)는 자리공과 자리공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미국자리공은 1950년대에 미국의 구호물자에 딸려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귀화식물입니다. 미국자리공의 열매는 익으면 붉은색으로 변하는 데, 이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 토양을 산성화하여 다른 식물이 자라는 것을 방해하는 생태계 교란 식물입니다. 미국자리공의 꽃말은 "미인", "잴 수 없는 사랑"입니다. 학명 Phytolacca americana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석죽목 └ 자리공과 └ 자리공속 └ 미국자리공 다른이름 미국자리공, 창륙(昌陸), 당륙(當陸), 미상륙(美商陸), 장녹, 장록, American pokeweed, poke sallet, dragonberries 원산지 북.. 2020.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