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1

협죽도(夾竹桃:Oleander) 협죽도(夾竹桃:Oleander)는 협죽도과 협죽도속의 상록 관목(떨기나무)입니다. 협죽도(夾竹桃: 중국명칭)는 잎은 대나무를 닮았고, 꽃은 복숭아꽃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잎이 대나무와는 닮지 않아서 우리나라에서는 유도화(柳桃花: 잎은 버들잎을 닮고 꽃은 복숭화같은 꽃)라고 합니다만, 표준 꽃이름은 협죽도입니다. 협죽도의 꽃말은 "위험", "주의"입니다. 학명 Nerium oleander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협죽도과 └ 협죽도속 └ 협죽도 다른이름 협죽도(夾竹桃), 구절종(九節腫), 유도화(柳桃花), 류선화, Oleander, Sweet scented Oleander 원산지 인도 협죽도는 꽃이 귀한 여름에서부터 가을까지 오.. 2020. 7. 13.
냉초(冷草) 냉초(冷草)는 질경이과 냉초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냉초의 꽃말은 "순결"입니다. 학명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꾹풀목 └ 질경이과 └ 냉초속 └ 냉초 다른이름 냉초(冷草), 숨위나물, 수뤼나물, 초불위령선 원산지 우리나라, 시베리아, 중국, 일본 2020. 7. 11.
백일홍(百日紅: Common Zinnia dahlia Flowered) 백일홍(百日紅: Common Zinnia dahlia Flowered)는 국화과 백일홍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백일홍(百日紅)은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한해살이풀입니다. 백일홍은 멕시코에서 자생하는 잡초였는 데, 관상용으로 개량하여 널리 보급되었다고 합니다. 같은 이름 다른 꽃으로 나무 백일홍이 있습니다. 나무 백일홍은 배롱나무라고 부릅니다. 저는 배롱나무를 백일홍으로 알고 있었는 데, 이 꽃을 조사하다가 이 꽃이 백일홍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네요. 백일홍(百日紅)은 한자 그대로 백일 동안 꽃이 피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그 만큼 오랬동안 피어있다는 뜻입니다. 봄에 파종하면 7월초에서 10월말까지 꽃이 핍니다. 백일홍의 꽃말은 "순결(흰색)", "그리움"입니다. 학명 Zinnia elegans Jacq.. 2020. 7. 9.
범부채 (leopard lily) 범부채 (leopard lily)는 붓꽃과 붓꽃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범부채는 꽃잎에 나 있는 붉은색 얼룩무늬가 호랑이 털가죽처럼 보이고 처음 싹이 나면서부터 질서 있게 퍼지며 자라는 모양이 부채꼴 같다 하여 범부채라 불립니다. 범부채의 꽃말은 "정성 어린 사랑"입니다. 학명 Iris domestica (L.) DC. Belamcanda chinensi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비짜루목 └ 붓꽃과 └ 붓꽃속 └ 범부채 범부채는 DNA 분석결과 범부채속에서 붓꽃속으로 변경되어 학명도 변경됨 다른이름 호의선(虎矣扇), 범부채, 범부처, 오선(烏扇), 황원(黃遠), 야간(夜干), 사간(射干) blackberry lily, leopard flower, leopard lily 원산지 우.. 2020. 7. 8.
애기범부채(montbretia) 애기범부채(montbretia)는 붓꽃과 애기범부채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범부채보다는 크기와 꽃이 작아서 애기범부채라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애기범부채의 꽃말은 "청초"입니다. 학명Crocosmia × crocosmiflora (Lemoine) N.E.Br. 분류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비짜루목 └ 붓꽃과 └ 애기범부채속 └ 애기범부채 다른이름애기범부채, 몬트브레티아, 몬트브레치아, 크로커스미아, 아노마테카락사, Crocosmia, Montbretia 원산지Crocosmia aurea의 교배종 2020. 7. 8.
만수국(萬壽菊)/프렌치메리골드(French Marigold) 만수국(萬壽菊)/프렌치메리골드(French Marigold)는 국화과 천수국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프렌치메리골드는 메리골드 중에서 꽃이 풍성하지 않은 작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만수국/프렌치메리골드(French Marigold)의 꽃말은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입니다. 학명 Tagetes patula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천수국속 └ 프렌치메리골드 다른이름 프렌치메리골드, 프렌치매리골드, 공작초, 만수국(萬壽菊), French Marigold 원산지 멕시코 -> 아프리카 -> 유럽 참고자료 천수국(千壽菊)/아프리칸메리골드(African marigold) 천수국(千壽菊)/아프리칸메리골드(marigold)는 국화과 천수국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2020. 7. 7.
천수국(千壽菊)/아프리칸메리골드(African marigold) 천수국(千壽菊)/아프리칸메리골드(marigold)는 국화과 천수국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아프리칸메리골드는 메리골드 중에서 꽃이 풍성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천수국/아프리칸메리골드의 꽃말은 "헤어진 친구에게 보내는 마음", "가련한 사랑", "이별의 슬픔"입니다. 학명 Targetes erecta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천수국속 └ 아프리칸메리골드 다른이름 아프리칸메리골드, 아프라카메리골드, 천수국(千壽菊), African Merigold, Mexican marigold, Aztec marigold 원산지 멕시코 -> 아프리카 참고자료 만수국(萬壽菊)/프렌치메리골드(French Marigold) 만수국(萬壽菊)/프렌치메리골드(French Marigold.. 2020. 7. 7.
다알리아(Dahlia) 다알리아(Dahlia)는 국화과 다알리아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어렸을 때 집안의 화단에 매년 심었던 다알리아입니다. 겨울에는 알뿌리(덩이줄기) 파서 얼지않게 보관했다가 봄에 다시 심었던 기억이 있네요. 할머니께서 계셨을 때에 다알리아, 채송화, 풍접초, 분꽃 등을 키웠었는 데, 이사가면서 화단도 없고 하면서 집에서 보지 못하게 된 꽃입니다. 요즘 다알리아 구경하기 쉽지 않네요. 다알리아의 꽃말은 "감사", "우아", "화려함", "영화", "불안정"입니다. 학명 Dahlia pinnata Cav.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다알리아속 └ 다알리아 다른이름 다알리아, 다리아, 달리아, 대려화(大麗花), Dahlia 원산지 멕시코 2020. 7. 6.
풍접초(風蝶草: Spider Flower) 풍접초(風蝶草: Spider Flower)는 풍접초과 풍접초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풍접초는 어릴 때 시골집에서 할머니께서 매년 심어셨던 꽃입니다. 열매가 익으면 길쭉한 열매에 작은 씨앗이 줄지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언제 들어온 것일까요? 열대아메리카가 원산지인데, 외딴 시골에서도 예전부터 키웠으니 말입니다. 풍접초의 꽃말은 "시기", "질투", "불안정"입니다. 학명 Cleome spinosa Jacq. 176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십자화목 └ 풍접초과 └ 풍접초속 └ 풍접초 다른이름 풍접초(風蝶草), 백화채, 양각채, 취접화(醉蝶花), 클레오메, 자용수, 족두리풀, 족두리꽃 원산지 열대 아메리카 2020. 7. 6.
털수염풀(가는잎나래새: Mexican feathergrass) 털수염풀는 벼과 나벨라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학명 Nassella tenuissima (Trin.) Barkworth nassa : 라틴어 "목이 좁은 바구니" Stipa tenuissima Trin. (나래새속에서 Nassella 속으로 변경됨)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나셀라속 └ 털수염풀 다른이름 털수염풀, 가는잎나래새, Mexican feathergrass, finestem needlegrass, fineleaved nassella, Argentine needle-grass 원산지 미국 남서부, 멕시코 북부 2020. 7. 5.
풀협죽도 풀협죽도(플록스: phlox) 풀협죽도(플록스: phlox)는 꽃고비과 풀협죽도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풀협죽도의 꽃말은 "주의", "방심은 금물", "청춘의 기쁨", "일치", "동의"입니다. 학명 Phlox paniculata L. 분류 식물계 └ 속씨� www.dailylife.kr 2020. 7. 5.
원추리 원추리(daylily) 원추리(daylily)는 원추리과 원추리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원추리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봄철의 어린 순은 나물(훤채)로 사용하고, 뿌리는 훤초근(萱草根)이라 하여 약으로 쓰입니�� www.dailylife.kr 2020.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