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7

도깨비가지의 번식력 도깨비가지 (Carolina horsenettle) 도깨비가지 (Carolina horsenettle)는 가지과 가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당현천을 따라 올라가다가 많이 본 듯한 꽃이 피어 있었습니다. 꽃을 찾아보니 도깨비가지라고 하네요. 가지와 꽃과 모양 www.dailylife.kr 도깨비가지는 가지과 가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외래종으로 2002년에 환경부로 부터 생태계 교란 외래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도깨비가지를 처음 본 것은 2016년 당현천에서 3~4그루가 자라는 것을 보았습니다. 4년이 지난 지금, 그 자리에는 그 주변을 모두 장악하고 있습니다. 다년생이라 뿌리는 죽지 않고 뿌리와 씨앗으로 번식을 하기 때문에 많이 퍼진 것 같습니다. 게다가 맨손으로 잡을 수 없도.. 2020. 6. 24.
원추리(daylily) 원추리(daylily)는 원추리과 원추리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원추리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봄철의 어린 순은 나물(훤채)로 사용하고, 뿌리는 훤초근(萱草根)이라 하여 약으로 쓰입니다. 보고 있으면 근심을 잊는다하여 망우초(忘憂草)라고도 부릅니다. 꽃은 하루만에 피었다가 지기때문에 영어로 day lily라고 합니다. 원추리의 꽃말은 "기다리는 마음"입니다. 학명 Hemerocallis fulva (L.)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비짜루목 └ 원추리과 └ 원추리속 └ 원추리 다른이름 넘나물, 망우초(忘憂草:근심을 잊게하는 풀), 누두과(漏斗果), 지인삼(地人蔘), 황색채근(黃色菜根), 익남초(益男草) daylily, orange day-lily, tawny daylily, co.. 2020. 6. 23.
아이비(Ivy) 아이비(Ivy)는 두릅나무과 송악속의 활엽 상록 덩굴성 관목입니다. 아이비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 데, 효과가 있는 공기정화식물입니다. 아이비는 위험한 독이 있어 아이가있는 가정에서 키울경우 아이 피부에 닿으면 피부염에 걸릴수있고 입에 댈 경우 호흡곤란이나 혼수상태에 빠져 죽을 수 있다 --출처: 위키백과-- 그리스인들이 중독을 치료한다고 믿었던 이 식물은 독성의 잎이 신경통, 류마티즘, 좌골통, 심한 기침을 완화시키는 습포에 사용된다. 열을 떨어뜨리고 벌레를 쫓고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킨다. 사포닌을 포함하고 용해 상태에서 머리카락, 검은 실크, 태피터를 어둡게 한다. 잎은 몇몇의 아메바, 균류, 연체동물을 죽이는 효과가 있다. (※셀룰라이트 : 물, 지방, 노폐물로 된 물질로, 여자의 둔부 등의 피하.. 2020. 6. 23.
사철나무(evergreen spindle) 사철나무(evergreen spindle)는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의 활엽 상록 관목입니다. 사철나무(evergreen spindle)의 꽃말은 "변화없다"입니다. 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1780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노박덩굴목 └ 노박덩굴과 └ 화살나무속 └ 사철나무 다른이름 사철나무, evergreen spindle , Japanese spindle 원산지 우리나라, 일본, 중국 2020. 6. 23.
줄사철나무(Fortunes creeping) 줄사철나무(Fortunes creeping)는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의 활엽 상록 덩굴성 관목입니다. 줄사철나무는 사철나무와 잎이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담쟁이덩굴이나 미국담쟁이와 달리 줄사철나무는 벽에 부착되는 빨판 같은 것이 없어서 굵은 줄기의 힘으로 꿋꿋이 기어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줄사철나무의 꽃말은 "변화없다"입니다. 학명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Sieb. et Miq.) Rehder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노박덩굴목 └ 노박덩굴과 └ 화살나무속 └ 줄사철나무 다른이름 줄사철나무, 줄사철, 덩굴사철나무, 부방등(扶芳藤), Fortunes creeping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2020. 6. 23.
박 (Calabash) 박은 박과 박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박의 꽃말은 "기다림"입니다. 학명 Lagenaria siceraria (Molina) Stand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박목 └ 박과 └ 박속 └ 박 다른이름 박, Calabash , Calabash gourd , White-flower gourd 원산지 인도, 아프리카 2020. 6. 21.
홍띠(Cogongrass) 홍띠(Cogongrass)는 벼과 띠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홍띠의 꽃말은 "순수"입니다. 학명 Imperata cylindrica 'Rubr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띠속 └ 홍띠 다른이름 홍띠, 띠, 삘기, 삐삐풀, 피기, 백모(白茅), 모자(茅茨), 모초(茅草), Cogongrass 원산지 북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의 온대,열대지방 2020. 6. 21.
은사초(銀莎草) 은사초(銀莎草)는 벼과 김의털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은사초의 꽃말은 "자중"입니다. 학명 Festuca glauca Vil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김의털속(Festuca 페스투카) └ 은사초 다른이름 은사초, blue fescue, blue mountain grass, grey fescue 원산지 프랑스 남부, 스페인 북동부, 이탈리아 북서부 2020. 6. 21.
애플민트(apple mint) 애플민트(apple mint)는 꿀풀과 박하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애플민트는 사과향이 난다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허브식물로 7~9월에 흰색 또는 보라색 꽃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핍니다. 애플민트의 꽃말은 "미덕"입니다. 학명 Mentha suaveolens Ehrh. 1792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박하속 └ 애플민트 다른이름 애플민트, apple mint 원산지 유럽 2020. 6. 21.
환삼덩굴 (wild hop) 환삼덩굴 (wild hop)은 삼과 환삼덩굴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우리나라의 물가, 들, 길가에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풀입니다. 잔가시가 많이 있어서 몸에 닿으면 가려우니 조심해야하는 풀입니다. 번식력이 강하고 다른 식물들을 감아서 죽이면서 영역을 확대합니다. 그래서 밭에서 자라면 얼른 뽑아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농작물을 칭칭 감아서 농작물과 함께 뽑아질 수 있어 농사를 망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암꽃과 수꽃이 다른 그루에 피는 이가화(二家花)입니다. 보기와는 다르게 약으로도 효험이 있는데, 고혈압에 효과가 뛰어나고 아토피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자기는 가렵게 하면서 병주고 약주는 풀이네요. 환삼덩굴은 자생종 중에 유일하게 생태계 교란종입니다. 환삼덩굴의 꽃말은 "엄마의 손"입니다... 2020. 6. 21.
딕시랜드(Dixieland) 딕시랜드(Dixieland)는 벼과 억새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학명 Miscanthus sinensis 'Dixieland'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억새속 └ 딕시랜드 다른이름 딕시랜드, 억새 딕시랜드, 참억새 딕시랜드, dixieland 원산지 - 2020. 6. 21.
스위트라벤더(Sweet Lavender) 스위트라벤더(Sweet Lavender)는 꿀풀과 라벤더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스위트라벤더는 잎이 은록색이 특징인 허브식물입니다. 학명 Lavandula x Heterophylla Lavandula : 라틴어 "씻다"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라벤더속 └ 스위트라벤더 다른이름 스위트라벤더, 스위트라벤다, Sweet Lavender 원산지 - 2020.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