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7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 vs. 자주천인국(에키네시아) 요즘 피는 꽃 중에서 눈에 확 띄는 무리지어 큰 꽃을 피우는 꽃들인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와 자주천인국(에키네시아)입니다. 둘 다 외래종이며, 고향이 같은 북아메리카 원산입니다. 원추천인국이 약간 빨리 피는 것 같습니다. 우리 동네에서 꽃 사진을 찍기 위해서 자주 가는 곳으로 "경춘선 숲길"과 "당현천"이 있습니다. 이 둘은 저희 집에서 완전히 반대쪽이라 하루에 두 곳을 다 갔다오기는 힘듭니다. 그런데,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은 경춘선 숲길쪽에만 있고, 자주천인국(에키네시아)은 당현천 쪽에만 심겨져 있어서, 서로 섞여서 피어 있는 모습을 보지 못했습니다. 원추천인국은 경춘선 숲길의 양지쪽에 심어져 있고, 자주천인국은 당현천쪽의 음지쪽으로 오후에 해가 드는 곳에 심어져 있습니다. 이 곳의 꽃들은 자주 새로.. 2020. 6. 21.
석잠풀(石蠶-) 석잠풀(石蠶-)은 꿀풀과 석잠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석잠풀 이름의 유래는 석잠(石蠶)은 ‘돌누에’라는 뜻인데, 석잠은 물에 사는 곤충의 이름이며 ’물여우’라고도 하고 곤충의 어린벌레가 누에고치 모양의 원통 집을 짓고 그 속에 들어가 산다고 합니다. 이 석잠풀의 땅 속 줄기 덩이가 단단하고 누에나 번데기 모양을 닮은 석잠과 닯은 풀이라는 뜻입니다. 석잠풀의 꽃말은 "설원의 여인"입니다. 학명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석잠풀속 └ 석잠풀 다른이름 석잠풀, 광엽수소(廣葉水蘇), 민석잠풀, 배암배추, 뱀배추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러시아 2020. 6. 19.
미국능소화(Trumpet creeper) 미국능소화(Trumpet creeper)는 능소화과 능소화속의 덩굴성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미국능소화는 능소화와 잎과 꽃이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꽃은 능소화에 비하여 대체로 작고, 화통이 길쭉하며 꽃들이 모여서 핍니다. 미국능소화의 꽃말은 "기다림", "명예", "영광"입니다. 학명 Campsis radicans Seem. Bignonia radicans L. Tecoma radicans (L.) Juss. Gelseminum radicans (L.) Kuntze Bignonia florida Salisb. Bignonia coccinea Steud. Campsis curtisii Seem.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능소화과 └ 능소화속 └ 미국능소화 다른이름 미국능소화.. 2020. 6. 17.
루엘리아 브리토니아(우창꽃:Mexican petunia) 루엘리아 브리토니아는 쥐꼬리망초과 루엘리아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루엘리아 브리토니아나의 꽃말은 "신비로움", "사랑을 위해 멋을 내는 남자"입니다. 학명 Ruellia simplex C.Wright Ruellia angustifolia (Nees) Lindau Ruellia brittoniana Leonard Cryphiacanthus angustifolius Nee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쥐꼬리망초과 └ 루엘리아속 └ 루엘리아 브리토니아나 다른이름 루엘리나 브리토니아나, 우창꽃, 목나팔, 멕시칸 피튜니아, Mexican petunia, Mexican bluebell, Britton's wild petunia 원산지 멕시코, 카리브해, 남아메리카 2020. 6. 17.
풍차국 (Stokesia) 풍차국 (Stokesia)는 국화과 풍차국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풍차국의 꽃말은 "해맑은 소녀"입니다. 학명 Carthamus laevi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풍차국속 └ 풍차국 다른이름 풍차국, 스토케시아, Stokes' aster, stokesia 원산지 남동부 미국 2020. 6. 17.
에린지움 (blue eryngo) 에린지움 (blue eryngo)는 미나리과 에린지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에린지움의 꽃말은 "비밀스런 애정"입니다. 학명 Eryngium planum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목 └ 마나리과 └ 에린지움속 └ 에린지움 다른이름 에린지움, blue eryngo, flat sea holly 원산지 알프스 산맥, 발칸산맥 북서부 2020. 6. 17.
멕시코모자 (Mexican hat) 멕시코모자 (Mexican hat)는 국화과 라티비다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멕시코모자는 꽃의 모양이 멕시코사람들이 쓰고 있는 둥글고 넓은 모자의 모양과 같아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원산지도 북아메리카로서 멕시코이므로 이름도 잘 어울립니다. 학명 Ratibida columnifera (Nutt.) Wooton & Stand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라티비다속 └ 멕시코모자 다른이름 멕시코모자, Mexican Hat, upright prairie coneflower 원산지 북아메리카 2020. 6. 17.
루피너스(large-leaved lupine) 루피너스(large-leaved lupine)는 콩과 루피너스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루피너스의 꽃말은 "모성애", "탐욕", "공상"입니다. 학명 Lupinus polyphyllus Lindl. Lopus : 라틴어 "이리"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루피너스속 └ 루피너스 다른이름 루피너스, 루핀, 층층이부채꽃, large-leaved lupine, big-leaved lupine, many-leaved lupine, blue-pod lupine, garden lupin 원산지 북아메리카 2020. 6. 14.
프렌치라벤더(French Lavender) 프렌치라벤더(French Lavender)는 꿀풀과 라벤더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프렌치 라벤더의 꽃말은 "정절"입니다. 학명 Lavandula stoechas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라벤더속 └ 프렌치라벤더 다른이름 프렌치라벤더, 스페니시 라벤더, Spanish lavender, topped lavender, French lavender 원산지 유럽남부 2020. 6. 14.
미루나무(eastern cottonwood) 미루나무(eastern cottonwood)는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미루나무의 꽃말은 "명예", "영광" vs. "비탄", "애석"입니다. 학명 Populus deltoides W.Bartram ex Marshall, 1785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말피기목 └ 버드나무과 └ 사시나무속 └ 미루나무 다른이름 미루나무, 미류나무, 강선뽀뿌라, 모나리백양, 모나리페라포플라, 미류, 텔토이데스포플라나무, 포플러 포플러나무, eastern cottonwood, necklace poplar 원산지 북아메리카 2020. 6. 14.
금불초(金佛草) 금불초(金佛草)는 국화과 금불초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노란꽃이 무리지어 피는 모습이 마치 부처님의 온화한 웃음같아서 금불초(金佛草)라고 이름붙여졌습니다. 번식방법은 씨앗을 파종하여 번식하거나 포기나누기(분주)로 가능하며, 씨앗의 발아율이 높아서 파종이 효율적입니다. 금불초의 꽃말은 "상큼함"입니다. 학명 Inula japonica Thunb. 1784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금불초속 └ 금불초 다른이름 금불초(金佛草), 금불화, 선복화(旋覆花), 금비초(金沸草), 하국(夏菊), 하국꽃, 하국화, 들국화, 옷풀, 오월국, 유월국, 대화선복화, 선복화, 금전화, .. 2020. 6. 14.
쉬땅나무(珍珠梅: false spiraea) 쉬땅나무(珍珠梅: false spiraea)는 장미과 쉬땅나무속의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쉬땅나무는 중부 이북 지역에서 주로 자생하는 나무입니다. 평안·함경 지방에서는 수수깡(수숫대)을 쉬땅이라고 부르는데 이 나무의 꽃 모양이 마치 수수 이삭처럼 보이기 때문에 쉬땅나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쉬땅나무의 꽃을 처음보았을 때에 하얀색으로 빛이 나는 듯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제가 하얀 꽃을 좋아하는 데, 너무나 하얗고 밝게 빛나든 지... 특히, 햇빛이 내려 쬐이면 더욱 더 아름다운 것 같습니다. 쉬땅나무의 꽃말은 "신중", "진중"입니다. 학명 Sorbaria sorbifolia (L.) A.Braun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쉬땅나무속 └ 쉬땅나무 다른이름 .. 2020.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