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1

양귀비(楊貴妃: Opium poppy)와 꽃양귀비/개양귀비(-楊貴妃: poppy) 양귀비(楊貴妃: Opium poppy)와 꽃양귀비/개양귀비(-楊貴妃: poppy)는 양귀비과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둘은 꽃 모양이 매우 아름답고 비슷합니다. 그리고 양귀비는 재배가 금지된 꽃이며 허가없이 재배시에는 법적인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들이 보는 대부분의 양귀비꽃들은 개양귀비(꽃양귀비)으로 자유롭게 재배가 가능합니다. [양귀비] 양귀비의 잎은 매끄럽고 잎은 두껍고 넓습니다. 양귀비의 잎, 줄기, 꽃봉오리, 열매에는 털이 없습니다. [개양귀비] 개양귀비의 잎은 가늘고 잎, 줄기, 꽃봉오리에는 잔털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열매는 털이 없이 매끈합니다. [참고자료] 양귀비(楊貴妃: Opium poppy) 양귀비(楊貴妃: Opium poppy)는 양귀비과 양귀비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양귀비(楊貴妃)라.. 2020. 6. 10.
겹꽃샤스타데이지 (Shasta Daisy Double) 겹꽃샤스타데이지 (Shasta Daisy Double)는 국화과 류칸테뭄속(레우칸테뭄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겹꽃샤스타데이지의 꽃말은 "만사를 인내한다.", "순진", "평화"입니다. 학명 Leucanthemum × superbum 'Crazy Daisy'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류칸테뭄속/레우칸테뭄속 └ 겹꽃샤스타데이지 다른이름 겹꽃샤스타데이지, 겹샤스타데이지, Shasta daisy double, Crazy daisy 원산지 교잡종 [참고자료] 2020. 6. 10.
엉겅퀴(thistle) 엉겅퀴(thistle)는 국화과 엉겅퀴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엉겅퀴는 시골 어느 곳에서나 자주 보이는 식물입니다. 다른 풀들에 비하여 키가 큰편이고 꽃이 진한 자주색으로 눈에 잘 띕니다. 시골의 집앞 저수지를 한바퀴 돌다가 엉겅퀴들이 떼로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사진에 담아봤습니다. 못 둑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모습 너무나 아름다웠습니다. 한 두 그루 모여있는 것은 자주 보이지만 이렇게 많이 보기는 싶지않은 데, 횡재를 한 것 같습니다. 엉겅퀴의 꽃말은 "독립", "고독한 사람", "근엄"입니다. 학명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xim.) Matsum. 1912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엉겅퀴속 └ 엉겅퀴 다른이름.. 2020. 6. 10.
석류나무(石榴: pomegranate) 석류나무(石榴: pomegranate)는 부처꽃과 석류나무속의 활엽 낙엽 소교목입니다. 석류라는 이름은 중국이 페르시아를 안석국(安石國)이라 불렀는데 안석국에서 자라는 나무(안석류: 安石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석류의 번식방법은 꺾꽂이, 휘묻이, 포기나누기 등이며, 줄기, 가지, 뿌리의 껍질은 구충제로 쓰이고, 열매껍질은 만성세균성 설사, 혈변, 탈항, 요충병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석류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석류 속에 많은 씨가 열리기 때문에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식물입니다. 그래서 옛부터 혼례복에 석류문양을 하기도 하였으며, 민화 등에 등장하기도 합니다. 석류에는 천연 에스트로겐이 많이 함유하고 있어 여성의 생리 불순에 좋다고 합니다. 남성에게는 탈모와 발기부전에 도움을 준.. 2020. 6. 10.
가지(eggplant) 가지(eggplant)는 가지과 가지속의 한해 또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가지의 꽃말은 "진실"입니다. 학명 Solanum melongena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가지목 └ 가지과 └ 가지속 └ 가지 다른이름 가지, 가자(茄子), eggplant 원산지 인도 [참고자료] 도깨비가지 (Carolina horsenettle) 도깨비가지 (Carolina horsenettle)는 가지과 가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당현천을 따라 올라가다가 많이 본 듯한 꽃이 피어 있었습니다. 꽃을 찾아보니 도깨비가지라고 하네요. 가지와 꽃과 모양 www.dailylife.kr 2020. 6. 9.
소리쟁이(curled dock) 소리쟁이(curled dock)는 마디풀과 소리쟁이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소리쟁이의 꽃말은 "친근한 정"입니다. 학명 Rumex crispus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석죽목 └ 마디풀과 └ 소리쟁이속 └ 소리쟁이 다른이름 소리쟁이, 송구지, 소루장이, 소루쟁이, 소로지, 소리장이, 솔구지, 양제, 우이대황, 홍근대황, curled dock 원산지 북반구 2020. 6. 9.
화이트세이지(white sage) 화이트세이지(white sage)는 꿀풀과 샐비어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학명 Salvia apiana Jep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샐비어속 └ 화이트세이지 다른이름 화이트세이지, white sage, bee sage, sacred sage 원산지 미국남서쪽, 멕시코북서쪽 2020. 6. 9.
공작새와 꽃들...... (2020.06.06) [참고자료] 당아욱(唐아욱:Mallow) 당아욱(唐아욱:Mallow)은 아욱과 아욱속의 두해살이 풀입니다. 당아욱의 꽃말은 "자애", "어머니의 사랑", "은혜"입니다. 학명 Malva sylvestris var. mauritian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www.dailylife.kr 금영화/캘리포니아 양귀비 (California Poppy) 금영화/캘리포니아 양귀비 (California Poppy)는 양귀비과 금영화속의 한해 또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당현천의 꽃양귀비꽃 사이에 띄엄뛰엄 노란꽃들이 보입니다. 이 꽃의 줄기와 잎은 가느다란 �� www.dailylife.kr 꽃양귀비/개양귀비(-楊貴妃: poppy) 꽃양귀비/개양귀비(-楊貴妃: poppy)는 양귀비과 양귀비속의 두해.. 2020. 6. 8.
해바라기(Sunflower) 해바라기(Sunflower)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의 한해살이풀입니다. 한해살이풀 중에서 이렇게 키가 크고 꽃도 큰 풀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 것 같네요. 해바라기는 해를 따라 움직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꽃이 어릴 때에는 해를 따라 움직이다가 더 자라고 나면 굳어서 움직이지를 못한다고 합니다. 해바라기의 꽃말은 "당신을 바라봅니다.", "숭배", "기다림"입니다. 학명 Helianthus annuus L., 1758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해바라기속 └ 해바라기 다른이름 해바라기, 규화(葵花), 향일규(向日葵), 해바래기, 향일화(向日花), Helianthus, sunflower 원산지 중앙아메리카 해바라기는 약 2,000~3,000년 전부터 북미 인.. 2020. 6. 8.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platanus) 양버즘나무/플라타너스(platanus)는 버즘나무과 버즘나무속의 활엽 낙엽 교목입니다. 양버즘나무는 도심속의 거리에서 한여름의 찌는 듯한 무더위를 크고 넓은 잎으로 우리에게 그늘을 만들어주는 가로수입니다. 플라타너스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려지는 이 나무는 요즘 많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를 없애주고 많은 수분을 방출하여 열섬현상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으나, 나무의 꽃가루가 기관지염을 유발하고 30℃에서 한 그루당 하루 40g의 이소프렌(C5H8)을 배출한다고 합니다. 이소프렌은 오존과 미세먼지를 만들어내는 오염물질로 한그루당 자동차 10대 분량을 배출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많은 플라타너스가 수난을 당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비록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한다고 하지만, 제가 살고 있는 서울 노원구에는 오.. 2020. 6. 8.
산수국(山水菊: Mountain hydrangea) 산수국(山水菊: Mountain hydrangea)는 수국과 수국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산수국은(山水菊: Mountain hydrangea) 물을 좋아하고 산에서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산수국은 바깥의 큰꽃과 안쪽의 작은 꽃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바깥 쪽의 큰 꽃은 헛꽃으로 무성화(無性花)로 열매가 맺지 않는 꽃입니다. 바깥의 화려한 헛꽃으로 벌과 나비와 같은 벌레들을 유인하여 참꽃의 수분을 돕습니다. 안쪽은 암술, 수술을 가진 참꽃봉오리입니다. 참꽃봉오리는 꽃이 피고 열매를 맺습니다. 산수국도 수국처럼 산성 토양에는 파란색이 알카리성토양에는 붉은/분홍색의 꽃이 핀다고 합니다. 산수국은 6~7월에 꽃이 핍니다. 재배 방법은 포기나누기(분주), 꺾꽂이(삽목), 휘묻이, 파종 등이 가능합니.. 2020. 6. 8.
쑥갓(Crown daisy) 쑥갓(Crown daisy)는 국화과 국화속의 한두해살이 풀입니다. 쑥갓 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잎에 쑥과 비슷하게 생겼고 갓처럼 김치를 담그 먹을 수 있어서 쑥을 닮은 갓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동북아시아 삼국만 요리의 재료로 사용하고 원산지인 유럽에는 원예용이라고 하니 믿기지가 않네요. 꽃잎은 아래와 같이 하얀바탕에 중앙이 노란색 꽃잎이거나 전체가 노란색 꽃이 핍니다. 쑥갓(Crown daisy)의 꽃말은 "상큼한 사랑"입니다. 학명 Chrysanthemum coronarium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국화속 └ 쑥갓 다른이름 쑥갓, 구동호(歐茼蒿), 동호(茼蒿), 춘국(春菊), crown daisy 원산지 ???? 2020.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