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7

참새귀리 (common brome) 참새귀리(common brome)는 벼과 참새귀리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학명 Bromus japonicus Thunb.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참새귀리속 └ 참새귀리 다른이름 참새귀리, common brome, Japanese brome 원산지 유라시아 2020. 6. 7.
오리새 (Orchard grass) 오리새 (Orchard grass)는 벼과 오리새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오리새는 미국을 통해서 들어와서 사료용으로 들어왔습니다. 우리나라 이름인 오리새는 영어 "cock's foot grass: 닭발풀"에서 따온 것으로 이삭의 모양이 오리발 같아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새는 벼과의 식물을 부르는 우리나라 고유어로서 억새, 기름새, 털새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리새는 오리발 모양의 이삭을 가진 벼과의 식물이라는 의미입니다. 학명 Dactylis glomerata L. 1753 Dactylis[손가락: finger] glomerata[무리를 이룬]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오리새속 └ 오리새 다른이름 오리새, 오처드그래스, 오차드그라스, 오처드그라스, Orch.. 2020. 6. 7.
자주개자리(Alfalfa) 자주개자리(Alfalfa)는 콩과 개자리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글. 자주개자리의 꽃말은 "즐거운 추억"입니다. 학명 Medicago sativa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개자리속 └ 자주개자리 다른이름 자주개자리, 알팔파, 앨팰퍼, 목숙, 자주꽃개자리, Alfalfa, Alfalfa Luceme 원산지 지중해 연안 2020. 6. 7.
자주닭개비 자주닭개비는 닭의장풀과과 닭의장풀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자주닭개비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인 여러해살이 풀로 주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으며, 식용, 약용, 식물세포 실험재료로도 사용합니다. 포기나누기(분주)나 파종을 통하여 번식하며, 5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고 9월에 씨가 열립니다. 닭의장풀의 꽃말은 "외로운 추억", "짧은 즐거움"입니다. 학명 Tradescantia reflexa Raf.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닭의장풀목 └ 닭의장풀과 └ 자주닭개비속 └ 자주닭개비 다른이름 자주닭개비, 자주달개비, 양달개비, 자로초 원산지 북아메리카 2020. 6. 7.
꼬리풀 꼬리풀는 질경이과 개불알풀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꼬리풀의 꽃말은 "달성"입니다. 학명 Veronica linariifolia Pall. ex Link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질경이과 └ 개불알풀속 └ 꼬리풀 다른이름 꼬리풀, 가는잎꼬리풀, 자주꼬리풀, 지향(枝香), 낭미화(狼尾花) 원산지 우리나라 2020. 6. 7.
망종화(芒種花: large-flowered St. John's wort) 망종화(芒種花)는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의 낙엽 관목입니다. 망종화는 24절기 중 9번째인 망종(양력 6월 6일) 전후에 핀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입니다. 금사매(金絲梅)라고도 불리는 데, 이는 금실로 수놓은 매화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번식방법은 꺾꽂이(삽목), 포기나누기로 번식합니다. 망종(芒種)의 망(芒)은 벼처럼 까끄라기가 있는 곡물을, 종(種)은 씨앗을 말합니다. 까끄라기 곡식을 뿌리기 적당한 계절이란 뜻입니다. 예로부터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다.", "망종에는 햇보리를 먹을 수 있다"는 말이 있을 만큼 보리베기, 모내기로 몹시 바쁜 시절입니다. (출처: 위키백과) 영어 이름(St. John's wort)이 특이해서 찾아봤습니다. St. John은 성(聖) 요.. 2020. 6. 7.
나리/백합/틈나리(百合: lily) 나리/백합/틈나리(百合: lily)는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나리/백합은 백합과, 백합속의 꽃들을 통칭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백합(百合)이라는 말은 흰백(白)자가 아닌 100 백(百)자로 땅속의 비늘줄기가 100개 정도 합쳐져 있다고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나리는 백합의 순수 우리말입니다. 백합의 꽃말은 흰색: "순결", "변함없는 사랑" 주황색: "명랑한 사랑" 노란색: "유쾌" 분홍색: "낭만적인 핑크빛 사랑" 빨간색: "열정적이고 깨끗함" 입니다. 학명 Lilium longiflorum THUNB.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 백합속 └ 백합 다른이름 백합(百合), 나리, 틈나리, 왕나리(북한), lily 원산지 - 2020. 6. 7.
미국담쟁이덩굴(美國담쟁이덩굴, Virginia creeper) 미국담쟁이덩굴(美國담쟁이덩굴, Virginia creeper)는 포도과 담쟁이덩굴속의 활엽 낙엽 덩굴성 교목입니다. 미국담쟁이덩굴은 원산지가 북아메리카 주로 동부인 것으로 보아 Ivy League라는 이름과 관련이 있지않을까 싶네요. 아이비 리그(영어: Ivy League)는 미국 북동부에 위치한 8개 사립 대학의 스포츠 팀으로 이루어진 운동 경기 연맹이다. 이 연맹의 이름은 이들 사립 대학교들을 통틀어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다. 이 8개 학교에는 브라운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코넬 대학교, 다트머스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예일 대학교가 포함된다. "아이비 리그"라는 용어는 학문적 우수성, 까다로운 입학 조건, 사회 엘리트주의로 함축된다. 아이비 리그는 "아주.. 2020. 6. 7.
이소토마(Isotoma) 이소토마는 초롱꽃과 이소토마속의 열대성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이소토마의 꽃말은 "영원한 사랑"입니다. 학명 Isotoma axillari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초롱꽃과 └ 이소토마속 └ 이소토마 다른이름 이소토마, 별꽃도라지, 로렌시아, 로렌티아, Blue Star Creeper, Isotoma, Laurentia 원산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서인도제도 2020. 6. 7.
노루오줌 노루오줌은 범의귀과 노루오줌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노루오줌 이름의 유래에 대한 설이 많다. 그중 뿌리에서 노루 오줌 냄새가 나서 붙었다는 설과 노루가 자주 오는 물가에서 많이 보여 그렇게 지었다는 두 설이 지배적이다. 노루오줌은 한방에서 전초를 ‘소승마’, 뿌리를 ‘적승마’라 하여 약으로 쓴다. 소승마는 해열, 두통 등에 쓰고, 적승마는 타박상 등에 쓴다. 전초를 술로 담가 먹기도 하고,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 출처: 위키백과 -- 노루오줌의 꽃말은 "기약없는 사랑", "소용없는 일"입니다. 학명 Astilbe rubra var. rubra Hook.f. & Thomson, 1857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범의귀과 └ 노루오줌속 └ 노루오줌 다른이름 노루.. 2020. 6. 7.
은행나무(銀杏나무: ginkgo, maidenhair tree) 은행나무(銀杏나무: ginkgo, maidenhair tree)는 은행나무과 은행나무속의 침엽 낙엽 교목입니다. 은행나무는 잎이 넓적해서 활엽수같지만, 소나무 처럼 갈라졌던 잎이 진화의 과정에서 옆으로 부채모양으로 붙은 침엽수라고 합니다. 고생대에 등장하여 신생대 에오세기에 번성하였으며 아직까지 살아 남아 있는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립니다. 분류상 은행나무문에 속하는 식물 중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아 있는 식물입니다. 또한 암나무와 수나무가 따로 자라며 꽃은 3mm 정도로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은행나무의 꽃말은 "장엄", "장수", "정숙"입니다. 학명 Ginkgo biloba L. (1771) 분류 식물계 └ 은행나무문 └ 은행나무강 └ 은행나무목 └ 은행나무과 └ 은행나무속 └ 은행나무 다른이름 은행.. 2020. 6. 7.
큰금매화 큰금매화는 미나리아재비과 금매화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큰금매화의 꽃말은 "꿈 많은 소녀"입니다. 학명 Trollius macropetalu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금매화속 └ 큰금매화 다른이름 큰금매화, 장판금련화(長瓣金蓮花)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러시아 극동지방 2020.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