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속씨식물문340

쥐똥나무(Ibota Privet) 쥐똥나무(Ibota Privet)는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의 낙엽관목입니다. 쥐똥나무는 씨가 동그랗고 검정색 열매를 맺어서 쥐똥나무라고 붙여졌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 시골집에 살때에 밤에 잠을 자고 있으면 방안의 천정에 쥐들이 후다닥 뛰어가곤 했습니다. 쥐들이 뛰어갈 때에는 쥐똥이 구르는 소리가 아직도 들리는 듯 합니다. 쥐똥나무의 열매 사진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보여주지 못합니다만(까만 열매가 익으면 한번 찍어 올려야겠습니다.), 작은 검정색 진주같이 생겼네요. 그래서 북한에서는 검정알나무라고 한다고 합니다. 제 어릴적 기억으로는 쥐똥의 모양은 구슬처럼 동그랗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저는 쥐똥나무 자료를 찾기 전에 처음 쥐똥나무의 꽃을 보고 색깔만 까맣다면 꽃이 피지 않은 길쭉한 모양이 쥐똥 모양이라서.. 2020. 5. 31.
중산국수나무 중산국수나무는 장미과 산국수나무속의 관목입니다. 학명 Physocarpus intermedius C.K.Schneid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산국수나무속 └ 중산국수나무 다른이름 중산국수나무, 중국국수나무 원산지 중국 2020. 5. 31.
솔잎금계국(숙근코스모스: moon beam) 솔잎금계국(moon beam)는 국화과 금계국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솔잎금계국(moon beam)의 꽃말은 "순정", "애정"입니다. 학명 Coreopsis verticillata L.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금계국속 └ 솔잎금계국 다른이름 솔잎금계국, 숙근코스모스, 애기달빛코스모스, 애기코스모스, moon beam, 문빔 원산지 북아메리카 2020. 5. 30.
태양국(가자니아, treasure flower) 태양국(treasure flower)는 국화과 가자니아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태양국(가자니아, treasure flower)의 꽃말은 "수줍음"입니다. 학명 Gazania rigens (L.) Gaertn.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태양국속 └ 태양국 다른이름 태양국, 가자니아, 훈장국화, gazania, treauure flower 원산지 남아프리카 2020. 5. 30.
리빙스턴데이지(livingstone daisy) 리빙스턴데이지(livingstone daisy)는 번행초과 도로테안터스속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리빙스턴데이지의 꽃말은 "희망", "평화"입니다. 학명 Cleretum bellidiforme (Burm.f.) G.D.Rowley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석죽목 └ 번행초과 └ 도로테안터스속 └ 리빙스턴데이지 다른이름 리빙스턴데이지, 리빙스톤데이지, livingstone daisy 원산지 남아프리카 2020. 5. 30.
붉은토끼풀(Red Clover) 붉은토끼풀(Red Clover)는 콩과 토끼풀속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붉은토끼풀은 하얀색의 꽃을 피우는 토끼풀과 달리 분홍색의 꽃을 피웁니다. 토끼풀에 비하여 키가 큰 편이고 줄기나 잎에 잔털이 있습니다. 토끼풀은 땅바닥에 딱 붙어서 기어서 자라는 데, 붉은토끼풀은 기는 줄기는 덜 발달하여 서서 자랍니다. 붉은토끼풀의 꽃말은 "약속", "행복"입니다. 학명 Trifolium pratense L. 1753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콩목 └ 콩과 └ 토끼풀속 └ 붉은토끼풀 다른이름 붉은토끼풀, 레드클로버, 홍차축조(紅車軸草), 홍삼엽(紅三葉), 금화채(金花菜), red clover 원산지 유럽 2020. 5. 24.
스텔라원추리(day lily) 스텔라원추리(day lily)는 원추리과 원추리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스텔라원추리(day lily)는 꽃이 하루만 피고 진다고 하여 영어로 day lily(우리나라꽃의 미국 개량종)라고 합니다. 키가 작아서 왜성원추리라고도 부릅니다. 스텔라원추리는 추위에 강하여 노지에서 월동하며, 봄부터 가을까지 꽃이 핀다고하여 사계원추리라고도 부릅니다. 스텔라원추리의 꽃말은 "지성", "기다리는 마음", "근심을 잊다."입니다. 학명 Hemerocallis 'stella de Oro'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비짜루목(아스파라거스목) └ 원추리과 └ 원추리속 └ 스텔라원추리 다른이름 스텔라원추리, 사계원추리, 왜성원추리, day lily 원산지 동아시아(우리나라, 중국, 일본) 2020. 5. 24.
일본조팝나무(Japanese Spiraea) 일본조팝나무(Japanese Spiraea)는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활엽 낙엽 관목입니다. 일본조팝나무의 꽃말은 "노련하다"입니다. 학명 Spiraea japonica L. f.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조팝나무속 └ 일본조팝나무 다른이름 일본조팝나무, 삼색조팝나무, 홍조팝나무, 황금조팝나무, 칼잎조팝나무, Japanese Spiraea 원산지 일본 2020. 5. 24.
돌나물(石上菜: stonecrop) 돌나물(石上菜: stonecrop)는 돌나물과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돌나물은 시내가 등이나 야산에 많이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돌나물, 석상채(石上菜)는 다른 식물들이 자라기 힘든 돌 틈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어린순은 나물로 하며 연한 잎과 줄기로 물김치를 담가 먹거나 생채, 샐러드, 겉절이 등으로 먹기도 합니다. 돌나물의 꽃말은 "근면"입니다. 학명 Sedum sarmentosum Bunge, 1898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 돌나물 다른이름 돌나물, 반지련(半支蓮), 불지갑(佛指甲), 석지갑(石指甲), 수분초(垂盆草), 돈나물, 석상채(石上菜), stonecrop 원산지 우리나라 2020. 5. 24.
기린초(麒麟草) 기린초(麒麟草)는 돌나물과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기린초는 시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입니다. 꽃이 돌나물과 아주 비슷합니다. 돌나물은 줄기와 잎이 채송화 같이 다육식물 같은 모양이지만, 기린초는 나무가지 같은 줄기에 잎이 달렸습니다. 기린초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기린초의 꽃말은 "소녀의 사랑", "기다림"입니다. 학명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1898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범의귀목 └ 돌나물과 └ 돌나물속 └ 기린초 다른이름 각시기린초, 넓은잎기린초, 경천초(景天草), 기린채(麒麟菜), 백삼칠(白三七), 비채(費菜), 마삼칠(馬三七), 양심초(養心草) 원산지 우리나라, 중국, 일본 2020. 5. 24.
백리향(百里香:thyme) 백리향(百里香:thyme)는 꿀풀과 백리향속의 낙엽 반관목입니다. 백리향(百里香)은 밟고 지나가면 향이 백리까지 간다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백리향은 우리나라 자생종이며 15cm 전후까지 자라는 키가 작은 나무입니다. 백리향의 꽃말은 "용기", "향기"입니다. 학명 Thymus quinquecostatus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꿀풀과 └ 백리향속 └ 백리향 다른이름 백리향(百里香), 산백리향(山百里香), 사향초(麝香草), thyme 원산지 동아시아 (우리나라, 중국, 극동 러시아, 일본) 2020. 5. 24.
애기금어초(리나리아) 애기금어초(리나리아)는 현삼과 해란초속의 한해살이풀입니다. 애기금어초(리나리아)의 꽃말은 "내 마음을 알아주세요."입니다. 학명 Linaria maroccana Linaria bipartita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꿀풀목 └ 현삼과 └ 해란초속 └ 애기금어초 다른이름 애기금어초, 리나리아, 모로코리나리아, 모로코해란초, baby snapdragon, moroccan tooadflax, Clovenlip Toadflax 원산지 모로코, 북아프리카 2020. 5. 24.
반응형